본문 바로가기
728x90

Networking/Web3

CORS CORS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는 HTTP 헤더를 하나 추가하여, 한 출처에서 실행 중인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출처의 선택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브라우저에서 알려주는 방식이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리소스가 자신의 출처(도메인, 프로토콜, 포트)와 다를 때 교차 출처 HTTP 요청을 실행한다. ex) https://beer1.com 프론트엔드에서 XMLHttpRequest를 사용하여 https://beer2.com/api를 요청하는 경우 도메인이 다른 출처에게 리소스를 요청하므로 교차 출처 요청의 한 사례가 된다. 보안 상 문제를 막기 위해..? 보안 상의 이유로 브라우저는 스크립트에서 시작한 교차출처 HTTP 요청을 .. 2022. 5. 28.
JWT JWT JWT(Json Web Token)은 Json 객체로서 사용자의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정의하는 RFC7519 표준이다. JWT는 디지털 서명이 되어있기 때문에 검증되고 신뢰할 수 있다. JWT는 HMAC 알고리즘의 secret이나 RSA 또는 ECDSA 를 사용한 public/private key를 사용하여 서명이 된다. JWT는 언제 사용되나? JWT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다. Authorization: 보통 이 때 많이 사용한다. 사용자가 한번 로그인을 한 후의 요청들은 JWT를 포함하여 요청한다.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거나 조작할 때 JWT로 권한을 확인한다. JWT로 권한을 확인한다면 세션을 통해 권한을 확인하는 것 보다 오버헤드가 줄어들고 다른 도메인에서도 권.. 2022. 5. 28.
Cookie HTTP에서 쿠키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작은 데이터 조각이다. 브라우저는 서버에서 쿠키를 받아 저장해두었다가 동일한 서버에 재 요청 시 쿠키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한다. 사용 목적 쿠키는 주로 3가지 목적을 위해 사용한다. 세션 관리: 로그인 정보, 장바구니 등 사용자의 정보 저장 개인화: 사용자 선호, 테마 등의 정보 저장 트래킹: 사용자 행동을 기록하고 분석하는 용도 쿠키의 필요성 원래 HTTP는 비연결성(Connectionless)과 무상태성(Stateless)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무상태성의 특징 때문에 HTTP 기반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들어오면 어떤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들어왔는지 모른다. 하지만, 대부분의 웹 서비스는 로그인 기능이 있고, 로그인한 회원이.. 2022. 5. 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