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70 [1] Spring WebFlux 시작하기 Spring Framework에서 지원하는 리액티브 웹서버 프레임워크인 Spring WebFlux에 대하여 알아보자. Spring WebFlux 기존 SpringFramework의 웹 프레임워크인 Spring MVC는 서블릿 API와 서블릿 컨테이너용으로 만들어졌다. 그런데 점차 Reactive stack이 발전하면서 SpringFramework 5.0 버전 이상 부터는 Reactive stack의 웹 프레임워크인 Spring WebFlux를 개발하였다. Spring WebFlux는 완전한 non-blocking을 지원하며 Reactive stream의 back pressure를 지원하고, Netty, Undertow, Servlet 3.1+ 컨테이너와 같은 서버에서 실행된다. Spring MVC vs .. 2022. 10. 6. CKA 합격 후기 안녕하세요! 저는 작년 10월부터 회사에서 VM 기반 MSA 환경을 쿠버네티스 환경으로 이전하는 프로젝트를 맡아서 진행하면서 쿠버네티스를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는 도중 쿠버네티스에 대해 더 깊이 알고 싶었고, 실제로 쿠버네티스 운영자가 갖춰야 할 최소한의 지식 범위가 어느정도인지 알기 위해 CKA 시험을 준비하였고 95점으로 합격하였습니다! 시험 합격한 기념 + 저 뿐만 아니라 쿠버네티스를 공부하는 다른 개발자분들을 위해 CKA 준비 과정을 공유하고자 이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CKA 준비 과정 저는 2022년 5월 말부터 CKA를 준비하였고, 2022년 9월 4일에 시험을 쳤습니다. 제가 시험을 칠 때는 1.24 버전이었습니다. 시험 준비하는 데 약 3달이 걸렸는데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강의 (약 .. 2022. 9. 14. [10] 쿠버네티스 Ingress 쿠버네티스에서 파드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서 서비스를 사용하였다. 만약에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의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외부로 노출시켜야 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우리는 배운대로 애플리케이션을 디플로이먼트로 띄우고, 서비스를 통해 외부로 노출시킬 것이다. 운영 환경에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서비스를 LoadBalancer 타입으로 노출시킬 것이다. 하지만 이런 방식을 사용할 경우 애플리케이션 종류별로 로드밸런서를 구축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간단한 서비스의 경우,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할 수도 있다. Ingress 다행히도 쿠버네티스에서는 이러한 측면을 보완해주는 쿠버네티스 오브젝트를 제공해주는데 그것이 바로 Ingress이다. Ingress는 간단히 말하면 Host, Path기반으로 애플리케이.. 2022. 7. 21. 쿠버네티스 Static Pods 쿠버네티스의 컨트롤 플레인 노드에 있는 kube-scheduler 는 파드가 생성되면 파드를 적절한 노드로 스케줄링한다. 하지만 kube-scheduler가 없다면(장애가 난다면), 또는 kube-apiserver가 없다면 파드를 생성하거나 스케줄링을 할 수 없다. 하지만 kube-scheduler, kube-apiserver 의 도움 없이 파드를 배포할 수도 있다. 실제로 파드를 직접 배포하는 컴포넌트는 각 노드에서 구동 중인 kubelet이기 때문이다. (사실은 kube-apiserver가 kubelet 에게 파드가 생성되었으니 파드를 배포시키라고 지시한다.) kube-apiserver 가 시키지 않고도 kubelet 이 스스로 파드를 배포하게 만들 수 있다. 노드의 /etc/kubernetes/ma.. 2022. 7. 16. TLS & HTTPS (2) CA 이전 글에서는 TLS의 기반이 되는 Asymmentric encryption을 사용하는 통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Asymmentric encryption을 사용하는 통신이 어떤 면에서 안전한지와 문제점에 대하여 다뤄보았다. 2022.07.15 - [Networking/일반] - TLS & HTTPS (1) TLS & HTTPS (1) TLS TLS(Transport Layer Security)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통신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암호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은 TCP/IP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에 적용되며 통신 과정에서 Transport Layer 종 beer1.tistory.com 이전 글에서 Asymmentric encryption 통신의 문제점으로는 서버가 실제로 신뢰할 수.. 2022. 7. 16. TLS & HTTPS (1) TLS TLS(Transport Layer Security)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통신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암호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은 TCP/IP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에 적용되며 통신 과정에서 Transport Layer 종단간 보안과 데이터 무결성을 확보해준다. TLS는 인코딩, 암/복호화 압축 및 코드 변환을 하는 OSI Layer 6에 속한다. TLS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프로토콜은 HTTPS이다. HTTPS는 HTTP + Secure로 HTTP 내부에서 TLS가 보안통신을 처리한다. TLS 프로토콜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자. TLS Certificate TLS Certificate는 트랜잭션 동안 두 party 간의 신뢰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 2022. 7. 15. Linux 행 갯수 세기 특정 파일의 행 갯수를 세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럴 때는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 wc -l test.txt 7 test.txt test.txt 1 2 3 4 5 6 7그리고 특정 명령어 결과값의 행 갯수를 세고 싶다면 파이프라이닝을 활용하면 된다. # command | wc -l $ kubectl get clusterrole | wc -l 70 2022. 6. 18. CORS CORS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는 HTTP 헤더를 하나 추가하여, 한 출처에서 실행 중인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출처의 선택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브라우저에서 알려주는 방식이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리소스가 자신의 출처(도메인, 프로토콜, 포트)와 다를 때 교차 출처 HTTP 요청을 실행한다. ex) https://beer1.com 프론트엔드에서 XMLHttpRequest를 사용하여 https://beer2.com/api를 요청하는 경우 도메인이 다른 출처에게 리소스를 요청하므로 교차 출처 요청의 한 사례가 된다. 보안 상 문제를 막기 위해..? 보안 상의 이유로 브라우저는 스크립트에서 시작한 교차출처 HTTP 요청을 .. 2022. 5. 28. JWT JWT JWT(Json Web Token)은 Json 객체로서 사용자의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정의하는 RFC7519 표준이다. JWT는 디지털 서명이 되어있기 때문에 검증되고 신뢰할 수 있다. JWT는 HMAC 알고리즘의 secret이나 RSA 또는 ECDSA 를 사용한 public/private key를 사용하여 서명이 된다. JWT는 언제 사용되나? JWT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다. Authorization: 보통 이 때 많이 사용한다. 사용자가 한번 로그인을 한 후의 요청들은 JWT를 포함하여 요청한다.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거나 조작할 때 JWT로 권한을 확인한다. JWT로 권한을 확인한다면 세션을 통해 권한을 확인하는 것 보다 오버헤드가 줄어들고 다른 도메인에서도 권.. 2022. 5. 28.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728x90